
[밸류체인타임스=최선혜 수습기자] 왼손에게>의 출판사는 ‘사계절’이며, 출간일은 2022년 9월 8일이다. 저자 ‘한지원’은 시각 디자인을 전공한 후, 디자이너로 일하다 그림책의 매력에 푹 빠졌다. 그렇게 그림책을 공부하다가 출간까지 이어졌다. <구두 전쟁>, <물이 뚝뚝>, <바다에 가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등을 쓰고 그렸다.

오른손은 왼손에게 단단히 화가 났다.

왜냐하면 숟가락도, 젓가락도, 양치질도, 심지어 빗질까지 모두 오른손의 일이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왼손은 핸드크림 바를 때만 슬쩍 다가왔다. 얄밉게.

게다가 번쩍이고 예쁜 것은 언제나 왼손 차지였다.
오른손이 보기엔 왼손과 자신의 차이점이 없어보였다. 똑바로 봐도, 뒤집어 봐도, 심지어 물구나무를 서서 봐도 똑같아 보이기만 했다.

오른손은 너무너무 기뻤다. 오늘은 기다리고 기다리던 매니큐어를 바르는 날이기 때문이다!

오른손은 빨갛게 물들 자신의 손톱을 기대하며 왼손의 손톱을 정성스럽게 칠해 주었다.

그 후 왼손이 오른손에게 매니큐어를 칠해줄 시간이 왔다. 왼손은 아주 조심히 손을 바들바들 떨며 칠했지만..

결과물은 엉망이었다. 오른손은 왼손이 일부러 그런 것 같아 화가 났다. 하지만 왼손도 최선을 다했기 때문에 억울했다.

오른손은 왼손의 태도에 짜증이 났다. 오른손의 기준에선 왼손이 바보같이 아무것도 못해서 도와준 것이었다. 왼손은 아무것도 못하니까 놀기만 하고, 오른손은 할 줄 아니까 다 하는 것이다. 하지만 왼손의 의견은 달랐다. 왼손이 하려고 하면 이미 오른손이 먼저 해버려서 할 수가 없었던 것이다.

점점 험악해 져가는 분위기 속에서 오른손과 왼손은 싸우게 되었는데, 오른손이 다쳤다. 신기하게도 만나는 사람마다 똑같은 말만 했다. “하필이면 오른손이 다쳤네.” “차라리 왼손이 다쳤으면 괜찮았을텐데.” 하지만 이번에도 왼손은 바보같이 듣고만 있었다.

왼손은 꾀 대신 최선을 다하기를 선택했지만, 오른손처럼 할 수는 없었다.

그러던 어느 날, 모기가 찾아왔다. 모기는 왼손의 손등을 물었다. 손등은 빨갛게 부어 올랐고, 간지러워도 긁을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그때 오른손이 다가와 왼손의 손등을 긁어주었다. 그리고 손톱으로 꾹꾹 눌러 십자가 모양을 만들어주었다.

잠시 후, 윙 소리와 함께 모기가 다시 찾아왔다. 오른손과 왼손은 동시에 손뼉을 마주쳤다. ‘짝!’ 큰 소리와 함께 모기가 잡혔다.

왼손이 오른손에게 사과했다. 하마터면 왼손의 가장 소중한 친구를 잃을 뻔했다. 자신 대신 힘써줘서 고맙다며 마음을 전했다. 이제 오른손의 차례다. ‘나와 가장 친한 왼손에게..’

“박수도 두 손이 맞아야 소리가 난다”는 옛말이 있다. 오른손과 왼손이 혼자서 박수를 칠 수 없듯, 역할과 능력은 다르지만 둘은 서로에게 꼭 필요한 존재다.
모든 사람은 자신만의 기준으로 살아가기 마련이고, 왼손과 오른손도 고유한 생각을 지니고 살았을 것이다. 그렇게 각자의 감정이 쌓인 결과, 오른손은 억울했고 왼손은 서운했다. 차라리 왼손에게 부탁해서 함께 짐을 지웠다면 어땠을까? 힘든 일은 나눌수록 더 쉬워지고 가벼워지는 법이니까.
저작권자 © 밸류체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밸류체인타임스 = 최선혜 수습기자]
[밸류체인타임스=최선혜 수습기자] 왼손에게>의 출판사는 ‘사계절’이며, 출간일은 2022년 9월 8일이다. 저자 ‘한지원’은 시각 디자인을 전공한 후, 디자이너로 일하다 그림책의 매력에 푹 빠졌다. 그렇게 그림책을 공부하다가 출간까지 이어졌다. <구두 전쟁>, <물이 뚝뚝>, <바다에 가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등을 쓰고 그렸다.
오른손은 왼손에게 단단히 화가 났다.
왜냐하면 숟가락도, 젓가락도, 양치질도, 심지어 빗질까지 모두 오른손의 일이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왼손은 핸드크림 바를 때만 슬쩍 다가왔다. 얄밉게.
게다가 번쩍이고 예쁜 것은 언제나 왼손 차지였다.오른손이 보기엔 왼손과 자신의 차이점이 없어보였다. 똑바로 봐도, 뒤집어 봐도, 심지어 물구나무를 서서 봐도 똑같아 보이기만 했다.
오른손은 너무너무 기뻤다. 오늘은 기다리고 기다리던 매니큐어를 바르는 날이기 때문이다!
오른손은 빨갛게 물들 자신의 손톱을 기대하며 왼손의 손톱을 정성스럽게 칠해 주었다.그 후 왼손이 오른손에게 매니큐어를 칠해줄 시간이 왔다. 왼손은 아주 조심히 손을 바들바들 떨며 칠했지만..
결과물은 엉망이었다. 오른손은 왼손이 일부러 그런 것 같아 화가 났다. 하지만 왼손도 최선을 다했기 때문에 억울했다.
오른손은 왼손의 태도에 짜증이 났다. 오른손의 기준에선 왼손이 바보같이 아무것도 못해서 도와준 것이었다. 왼손은 아무것도 못하니까 놀기만 하고, 오른손은 할 줄 아니까 다 하는 것이다. 하지만 왼손의 의견은 달랐다. 왼손이 하려고 하면 이미 오른손이 먼저 해버려서 할 수가 없었던 것이다.
점점 험악해 져가는 분위기 속에서 오른손과 왼손은 싸우게 되었는데, 오른손이 다쳤다. 신기하게도 만나는 사람마다 똑같은 말만 했다. “하필이면 오른손이 다쳤네.” “차라리 왼손이 다쳤으면 괜찮았을텐데.” 하지만 이번에도 왼손은 바보같이 듣고만 있었다.
왼손은 꾀 대신 최선을 다하기를 선택했지만, 오른손처럼 할 수는 없었다.
그러던 어느 날, 모기가 찾아왔다. 모기는 왼손의 손등을 물었다. 손등은 빨갛게 부어 올랐고, 간지러워도 긁을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그때 오른손이 다가와 왼손의 손등을 긁어주었다. 그리고 손톱으로 꾹꾹 눌러 십자가 모양을 만들어주었다.
잠시 후, 윙 소리와 함께 모기가 다시 찾아왔다. 오른손과 왼손은 동시에 손뼉을 마주쳤다. ‘짝!’ 큰 소리와 함께 모기가 잡혔다.
왼손이 오른손에게 사과했다. 하마터면 왼손의 가장 소중한 친구를 잃을 뻔했다. 자신 대신 힘써줘서 고맙다며 마음을 전했다. 이제 오른손의 차례다. ‘나와 가장 친한 왼손에게..’
“박수도 두 손이 맞아야 소리가 난다”는 옛말이 있다. 오른손과 왼손이 혼자서 박수를 칠 수 없듯, 역할과 능력은 다르지만 둘은 서로에게 꼭 필요한 존재다.
모든 사람은 자신만의 기준으로 살아가기 마련이고, 왼손과 오른손도 고유한 생각을 지니고 살았을 것이다. 그렇게 각자의 감정이 쌓인 결과, 오른손은 억울했고 왼손은 서운했다. 차라리 왼손에게 부탁해서 함께 짐을 지웠다면 어땠을까? 힘든 일은 나눌수록 더 쉬워지고 가벼워지는 법이니까.
저작권자 © 밸류체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밸류체인타임스 = 최선혜 수습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