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사의 단상] 나의 모든 것이 메시지다 l 밸류체인타임스

김혜선 기자
2024-05-31
조회수 1914

[밸류체인타임스=김혜선기자] 꼰대는 자신의 말과 주장만 관철시키려 하기 때문에 사람들이 꺼려 합니다. 나이와 관계없이 자신만 주장하고 배려가 없다면 꼰대입니다.

"검진 오셨나요?"

"예약."

며칠 전 건강검진을 예약하러 온 70대 남성분은 처음부터 반말을 했고 말도 짧았습니다. 순번이 되어 담당 직원이 예약을 합니다. 본인이 예전에 근무했었다며 서슴없이 반말입니다. 수면 위내시경 검사를 원해 날짜를 확인하면서 보호자가 반드시 동반해야 함을 안내했습니다.

 

 

"거, 직원 아무나 이름 올리면 되는 걸 가지고 뭘 그렇게 번거롭게 해."

"그러면 직원분 성함과 연락처 알려주세요."

"소화기내과 과장 이름 올려."

"소화기내과 어느 과장님 말씀하시나요? 성함과 연락처 알려주세요."

이름을 대지 못한 그는 씩씩거리며 가버렸습니다. 보호자를 해줄 만한 친분도 되지 않으면서 허세를 부렸던 것이었습니다. 올 때마다 번번이 이렇습니다. 직장 내에 준수해야 할 규정이나 규칙들을 권위, 그것도 상실한 권위를 앞세워 어기려고 하니 당연히 직원들이 좋아할 리 없습니다. 얼굴을 아는 직원들도 모르는 척합니다.



[사진출처 unsplash]



예전에는 반말하는 분들을 별 반응없이 그냥 참고 지나갔습니다. 하지만 당연하게 또 반말을 하는 모습을 보면서 태도를 조금 바꿨습니다. 반말이 시작되면 조용히 물어봅니다.

"혹시 저를 아시나요?"

갑작스러운 질문에 움찔하면서 모른다고 합니다.

"모르는 저에게 왜 계속 반말하시나요?"

그러면 대부분 더 이상 반말을 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좀 속이 상합니다. 초면부터 반말하면서 싸울 듯이 덤비니까요.

 

 

“사람의 인격은 자기 마음에 품은 생각을 닮게 마련”이라고 합니다. 말은 쉽고 간편하게 인격을 확인하는 척도입니다. 마음에 쌓은 것들이 말로 나오며 상대를 존중하는 마음을 가졌다면 반말이 나오지 않습니다. 만날 때마다 배려가 없는 말과 행동을 보인다면 상대를 무시하는 마음이 밖으로 표현된 것입니다.

 

 

타인에게 함부로 하며 권위를 세우는 이유는 우월함을 과시하고 만족감과 행복을 얻기 위함입니다. 많은 연구에서 알 수 있듯이 행복은 타인과의 '관계'에서 비롯됩니다. 친밀하고 지지와 공감의 관계가 돈독한 사람들은 행복지수가 높지만 무례한 사람들은 관계 형성이 어려우므로 행복지수가 낮습니다.

 

 

행복은 지속되는 감정이 아니며 기복이 있기 마련입니다. 따라서 행복한 순간이 많을수록 행복합니다. 한 번의 커다란 행복보다 작은 행복을 자주 느끼는 것이 행복한 삶이고 조금만 마음을 기울이면 누구나 행복 메이커가 될 수 있습니다. 작은 친절과 배려와 도움이 바로 그것들입니다. “그 사람의 말 하는 품새를 보면 그 사람의 소양을 안다.”는 말이 있습니다. 말 한마디 · 작은 친절 · 배려와 도움으로 기품 있는 사람이 될 뿐 아니라 행복을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송길영 저자의 책제목 『그냥 하지 말라 : 당신의 모든 것이 메시지다』는 묵직한 울림을 줍니다. 나의 ‘모든 것이 메시지’라면 지금 하고 있는 행동과 모든 것들이 의미를 갖고 있다는 뜻입니다. 뉴스를 장식하고 있는 유명 트로트 가수의 음주운전 은폐와 유명 반려견 훈련사의 갑질 사태를 보면 말과 행동이 어떤 메시지가 되어 파장을 일으키는지 알 수 있습니다.

 

 

“그렇게 내 삶을 정진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얻게 되는 생활근육이 저는 '성장'이라고 생각합니다. 예전 뱃사공 아저씨는 평생 헬스클럽에 간 적이 없지만 멋진 근육이 있었습니다. 생활근육입니다. 매일같이 일을 하면 내 안에 근육이 남습니다. 이 생활근육이 말하자면 성장의 지표 입니다. 근육을 키우기 위한 운동, 성장을 위한 삶을 사는 게 아니에요. 내가 삶에 꾸준히 적응한 결과가 성장이라는 생활 근육으로 올라오는 것입니다.” [송길영 저, 『그냥하지 말라』 p. 270]

 

 

마음을 담아 건네는 말 한마디, 미소 한번, 도움 하나가 쌓여 나를 전달하는 메시지가 되며 오늘을 통해 발산됩니다. 행복이 목표가 아니고 일상에서의 만남에 충실하다 보면 행복이 오는 것입니다. 성장이 목표가 아니고 일상을 충실하게 살아온 결과로 성장이 오는 것처럼 말입니다. 나의 모든 것이 메시지임을 알기 때문에 행복 전달자이자 행복 메이커로 살아가는 기쁨을 선택하고 실천해봅니다.

 

 

저작권자 ⓒ 밸류체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밸류체인타임스 = 김혜선기자]

0


경기도 부천시 삼작로108번길 48, 201호

대표전화 02 6083 1337 ㅣ팩스 02 6083 1338

대표메일 vctimes@naver.com


법인명 (주)밸류체인홀딩스

제호 밸류체인타임스

등록번호 아53081

등록일 2021-12-01

발행일 2021-12-01 

발행인 김진준 l 편집인 김유진 l 청소년보호책임자 김유진



© 2021 밸류체인타임스.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