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반토론] 음주운전 처벌 강화 찬성과 반대 | 밸류체인타임스

권예진 칼럼니스트
2024-11-03
조회수 2666


[밸류체인타임스 = 권예진 칼럼니스트] 음주운전에 대한 논의는 현재까지 뜨거운 감자로 남아있다. 일상생활에서 익숙하리 만큼 음주운전 사고 건수가 많아지면서 이에 대한 사회적 경각심도 높아지고 있다.

최근 몇 년간 음주운전으로 인한 사고와 사망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많은 시민들이 음주운전 처벌의 강화를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반면에 처벌 강화가 실제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도 제기되고 있다. 음주운전 처벌 강화에 대한 찬성과 반대 의견을 분석해보고, 보다 효과적인 해결 방안을 모색해보자.



찬성의견

1. 음주운전 억제 효과와 재범방지가 된다


음주운전 처벌을 강화하면, 술을 마신 후 운전을 시도하는 사람들에게 강력한 경고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높은 벌금이나 장기간의 징역형은 음주운전을 저지르려는 사람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다. 이러한 점은 음주운전 재범률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실제로 대한민국은 면허정지 기준 0.05%에서 0.03%로 높인 해 2016년에 음주운전 재범률이 34%에서 21%로 줄어든 효과가 있었다. 또한 전년대비 28%에서 2024년 15%까지 줄어들었다. 2016년부터 2024년까지 꾸준히 음주운전 재범률이 줄어들고 있다. 이는 처벌 강화가 재범률을 낮추는 데 효과적임을 보여주는 실증적 증거다.

2. 음주운전은 살인 또는 살인미수다

음주운전 형량은 0.03% 이상 0.08% 미만이 1년 이하의 징역이나 500만 원 이하의 벌금, 0.08% 이상 0.2% 미만이 1년 이상 2년 이하의 징역이나 500만 원 이상 1천만 원 이하의 벌금, 0.2% 이상이 2년 이상 5년 이하의 징역이나 1천만 원 이상 2천만 원 이하의 벌금을 내야 한다. 반면 살인미수의 형량은 침착 동기살인은 감경 3년~5년, 기본 4년~6년, 가중 5년~8년, 보통 동기살인은 감경 7년~12년, 기본 10년~16년, 가중 15년 이상, 비난 동기살인은 감경 10년~16년, 기본 15년~20년, 가중 18년 이상이 부과된다.

현재의 법률 체계에서 음주운전의 형량은 살인이나 살인미수와 비교했을 때 현저히 낮은 수준이다. 가해자를 보호하는 법을 없애야 한다. 음주운전은 살인으로 치면 살인 흉기 같은 것이다.



반대의견

1. 음주운전의 근본적인 문제해결을 할 수 없다


처벌강화는 음주운전의 결과에 대한 것만 초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는 어렵다. ‘음주운전 후 벌금을 내면 끝난다’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결과에 대한 처벌을 하기보다는 예방교육과 같은 “음주운전은 하지 말아야 되는 것”이라는 마인드를 심어주는 것이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음주운전 재범율이 2024 기준 15%로 감소한 것은 사실이지만, 처벌만으로는 음주운전 문제를 완전히 해결할 수 없다는 점을 시사한다. 따라서 예방 교육과 음주 문화 개선을 병행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2. 재산권을 침해한다

반대 측은 단속 기준 강화 자체는 타당하지만 차량 몰수나 타인에 대한 동시 처벌이 너무 심하다고 주장한다. 반대 측은 “이 정도 기준이라면 전날 술 먹고 다음날 운전대를 잡아도 걸리겠다”는 주장을 보이고 있다. 


재산권을 과도하게 침해하고 형평성 문제도 생길 수 있다는 것이다. 비교적 고가인 차량을 몰수하는 것은 일반 범죄에서 사용된 도구를 몰수하는 것과는 달리, 헌법이 보장하는 개인의 재산권을 과도하게 침해하는 것이 될 수 있다.


화물차 등 차량을 생계유지 수단으로 사용하는 운전자의 경우, 차량 몰수로 생존권을 위협받을 수 있다는 점도 지적되고 있다. 렌터카나 리스 차량처럼 다른 사람 명의 차량으로 음주운전을 하다가 적발될 경우, 자신의 차량으로 운전한 사람들과 형평성 문제도 생길 수 있다.


이러한 음주운전 처벌에 관한 논쟁은 끝없이 펼쳐지고 있다. 두 입장 모두 타당성이 있어 더욱 의견차가 좁혀지지 않는다. 음주운전은 명백한 살인미수다. 처벌 강화를 찬성하는 사람들은 실제 살인미수 형량과 음주운전의 형량이 너무나도 크게 차이가 난다는 점에서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또한 처벌 강화를 하게 되면 실제로 재발률이 줄어든 결과가 나타났기 때문에 찬성한다.


반면 반대 측은 이러한 처벌강화가 근본적으로 해결이 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또한 차량을 빼앗거나 면허를 정지시키는 행위는 재산권침해와 생계유지가 어려워질 수 있다는 점에서 문제제기가 되고 있다.


음주운전 처벌 강화는 음주운전 사고를 줄이고 사회적 안전망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방안이다. 그러나 처벌 강화만으로는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없으며, 재산권 침해와 형평성 문제 등 부작용도 존재한다. 


따라서 효과적인 음주운전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예방 교육, 기술적 대안, 사회적 지원 시스템 구축 등 다양한 접근이 병행되어야 한다. 음주운전은 단순한 법규 위반을 넘어 타인의 생명을 위협하는 중대한 범죄임을 인식하고, 사회 전체가 함께 노력하여 보다 안전한 교통 환경을 조성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밸류체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밸류체인타임스 = 권예진 칼럼니스트]

0


경기도 부천시 삼작로108번길 48, 201호

대표전화 02 6083 1337 ㅣ팩스 02 6083 1338

대표메일 vctimes@naver.com


법인명 (주)밸류체인홀딩스

제호 밸류체인타임스

등록번호 아53081

등록일 2021-12-01

발행일 2021-12-01 

발행인 김진준 l 편집인 김유진 l 청소년보호책임자 김유진



© 2021 밸류체인타임스.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