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사의 단상] 전염병은 공간을 바꾸고, 공간은 사회를 바꾼다┃ 밸류체인타임스

김혜선 기자
2022-03-03
조회수 2877

[밸류체인타임스=김혜선기자] 코로나19는 사람이 모이는 것 자체를 위험으로 만들었다. 비대면과 비접촉, 마스크 착용 및 거리 두기의 시행은 일과 소비 방식, 삶의 패턴의 변화를 야기했다. 모임 자제와 거리 두기 방역 정책은 사회적인 동물인 사람에게 모이는 것 자체가 위험이 되는 풍토로 만들었다.



교통수단이 발달하면서 거리가 축소되고 공간이 압축되면서 감염병은 쉽게 전파되고 문제를 발생시킨다. 유현준씨는 그의 책 「공간의 미래」에서 코로나가 야기한 공간 변화에 대해 썼다. 공간 변화는 거기에만 머무르지 않는다. 공간의 운영 체계가 바뀌게 되면 공간을 통해서 구축되던 권력 구조가 와해된다. 그래서 책의 여는 글에는 ‘전염병은 공간을 바꾸고, 공간은 사회를 바꾼다.’로 시작한다.



책의 내용을 정리하면 ‘관계는 사람 간의 거리를 결정하며 공간의 밀도와 사회적 관계를 결정’한다. 같은 시간과 공간 안의 사람들이 한 방향을 바라보면 시선이 모이는 곳에 권력이 생성된다. 코로나19는 학교, 종교기관 등에서 그 권력을 해체시켰다. 온라인 동영상을 혼자 볼 때 선생님의 권위는 줄어든다. 모든 학생의 시선이 교탁으로 향할 때와 상황이 다르다. 코로나 이후 바뀐 수업의 형태는 기존의 학교 건축 공간이 만들었던 권력의 구조를 깨뜨렸다.



[간호사의 단상 : 전염병은 공간을 바꾸고, 공간은 사회를 바꾼다 / 밸류체인타임스 / 사진출처 : Unsplash]



감염병은 인류의 역사와 더불어 존재했다. 정착생활로 인한 인구밀도의 상승, 농경으로 인한 가축의 사육은 감염병을 발생시켰다. 감염병에 대처한 인류의 노력은 상하수도 처리와 건조기후대 거주, 위생시설의 발전 및 백신 개발 등을 통해 알 수 있다. 고대 이집트나 메소포타미아 문명은 건조기후대이면서 물이 풍부한 곳에 건설되었고 로마는 상수도를 설치하여 신선한 물을 도시에 공급했다. 콜레라와 장티푸스 등의 수인성 전염병에 대해 프랑스 파리에서는 하수도 시설을 설치함으로 사망률을 낮췄다.



코로나19로 언택트, 초개인화가 시작됐다. 사회적 거리 두기로 인한 온라인 경제와 재택근무의 활성화는 업무방식의 변화뿐 아니라 소비 방식의 변화도 가져왔다. 집에 대한 개념도 변화됐다. 코로나19 이전의 주거는 업무와 분리된 공간이었으나 집에서 지내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집은 휴식과 충전의 공간뿐 아니라 업무 및 감염병 전파방지 역할까지 담당하게 됐다.



사람들의 공간에 대한 생각이 바뀌면서 관심사도 바뀌었다. 오랜 시간 머무는 곳인 집에서 할 수 있는 홈트 ‧ 집밥 만들기 ∙ 인테리어 등에 관한 내용이 온라인에 수시로 업로드된다. 1인 가구 증가와 더불어 직장 ‧ 교육 ∙ 건강 ∙ 휴식 및 건강을 책임지는 변화된 집에 대한 개념은 코로나19 이후에도 유지될 전망이다. 스마트 헬스케어 기능의 탑재도 증가 추세여서 집의 역할은 더 다양해질 것이다.



사회적 약자들은 공간에 취약하다. 공간이 좁으면 격리가 어렵다. 오랜 시간 가족이 좁은 공간에 붙어 있으면 감염병 차단의 어려움뿐 아니라 정서적 메마름이 생긴다. 공간에서도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가중된다. 공간이 트인 곳은 바이러스 등의 감염병 뿐 아니라 정신의 감염병인 무기력, 우울증 등을 상쇄시킨다.



나를 노출시키지 않고 여유롭게 즐길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 공공의 야외 공간에서 신체적 ∙ 정신적 환기가 이루어진다. 집에서 어렵다면 외부의 공간도 가능하다. 유현준씨는 ‘더 많은 사람이 행복한 사회를 만드는 것이 우리의 목표’에 합당하기에 구별 없는 평등함이 존재하는 공간으로 접근성이 편리한 공공의 야외공간이 많이 만들어져야 한다고 제안한다. 전염병은 공간을 바꾸고, 공간은 사회를 바꾸지만 그 안에서 갈등을 줄이고 공감대를 만드는 노력이 엿보이는 부분이다.




저작권자 ⓒ 밸류체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밸류체인타임스 = 김혜선기자]



0


경기도 부천시 삼작로108번길 48, 201호

대표전화 02 6083 1337 ㅣ팩스 02 6083 1338

대표메일 vctimes@naver.com


법인명 (주)밸류체인홀딩스

제호 밸류체인타임스

등록번호 아53081

등록일 2021-12-01

발행일 2021-12-01 

발행인 김진준 l 편집인 김유진 l 청소년보호책임자 김유진



© 2021 밸류체인타임스.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