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대와 실현으로 행복을 측정하다.ㅣ밸류체인타임스

유희진 인재기자
2022-02-11
조회수 10329


(사진=폴 새뮤얼슨(Paul Samuelson),위키백과)


[밸류체인타임스=유희진 인재기자] 2021년(2020년 기준) 『유엔행복보고서』에 의하면, 행복지수 세계 1위는 핀란드, 2위 덴마크, 3위 스위스, 4위 아이스란드, 5위 노르웨이, 6위 네덜란드, 7위 스웨덴, 8위 뉴질랜드, 9위 오스트리아, 10위 룩셈브루크 등이었다. 반면 대한민국은 62위(행복지수 5.845)였으며, OECD 국가 중 하위 그룹 국가에 속했다. 


'행복'을 어떻게 정의할 수 있을까? 경제학자 폴 새뮤얼슨은 행복은 욕망 분의 소유 (행복=소유/욕망) 라고 간단히 정의했다. 행복하기 위해서 소유를 늘리거나, 욕망을 줄이면 된다. 반대로 소유가 늘어도 욕망이 더 많이 증가하면 행복은 0에 가까워진다. 


폴 새뮤얼슨은 행복의 정의를 통해 인간의 탐욕을 경고했다. 하지만 그의 이론은 '과연 인간의 욕망은 유한할까?, 소유가 행복을 결정하는 요소가 될 수 있을까?' 라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소유와 욕망 이외의 요소들에 의해 행복이 정의 될 수 있다는 경우의 수 모두 제외했다는 것 또한 비판의 여지가 있다.


<식탁위의 경제학자들>의 저자 조원경은 폴 새뮤얼슨의 행복 정의를 ‘행복은 실현 분의 기대(행복=기대/실현)로 재정의했다. '얼마나 많이 소유했는가' 보다 자신 앞에 놓인 상황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얼마나 가지고 싶은가' 보다 '얼마나 노력해서 성취했는가' 에 따라 행복값이 달라진다.


 결국 행복은 마음 먹기 달렸다. 물 컵에 물이 반 밖에 없다고 보는 사람과 반이나 남아 있다고 보는 사람의 행복 지수가 다르듯, 같은 상황을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행복방정식이 달라질 것이다. 행복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들은 많이 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각 사람의 마음가짐에 달려있다.


저작권자 Ⓒ 밸류체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밸류체인타임스=유희진 인재기자]


 

0


경기도 부천시 삼작로108번길 48, 201호

대표전화 02 6083 1337 ㅣ팩스 02 6083 1338

대표메일 vctimes@naver.com


법인명 (주)밸류체인홀딩스

제호 밸류체인타임스

등록번호 아53081

등록일 2021-12-01

발행일 2021-12-01 

발행인 김진준 l 편집인 김유진 l 청소년보호책임자 김유진



© 2021 밸류체인타임스.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