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인텔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미국의 헬스케어 분야 CEO나 연구자, 투자자 등 리더들 중 84%가 임상 작업에 이미 의료 AI를 도입했거나 도입할 계획이라고 응답했다. 이는 2018년의 37%를 기준으로 2년 사이에 2배 이상 오른 셈이다.
AI는 진단에서 치료 계획 수립, 환자 모니터링에 이르기까지 의료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킨다. 의료진의 업무를 지원하며, 환자의 치료 결과를 개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과거에는 상상할 수 없었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고, 의료 분야에서 AI의 역할이 앞으로 더욱 중요해질 것이다.
AI의 핵심 기여 중 하나는 질병의 정확한 진단이다. 이미지 인식 기술을 활용한 AI 시스템은 X레이, MRI와 같은 의료 영상을 분석하여 정밀한 진단이 가능하다. 특히 암, 뇌졸중, 심장 질환과 같은 중대한 질병의 조기 발견에 있어서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AI는 또한 복잡한 데이터 패턴을 분석하여 질병의 원인을 파악하고 개인별 맞춤형 치료 방안을 제시한다. 초소형 나노 로봇이 몸 안에 들어가 카메라로 의사에게 데이터를 줄 수 있다.
AI 기술은 환자 관리 방식이 탁월하다. 웨어러블 기기와 연동된 AI 시스템을 통해 환자의 건강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다. 이상 징후를 조기에 감지하여 빠른 대응이 가능하다. 특히 만성 질환을 가진 환자들의 건강 관리에 큰 도움을 준다. 또한 AI를 활용한 건강 상담 서비스는 환자가 언제 어디서나 전문적인 의료 조언을 받을 수 있게 한다.
AI는 빅 데이터 분석을 통해 환자의 건강 상태를 예측한다. 가장 효과적인 치료 방안을 주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의료진은 환자 개개인에게 가장 적합한 치료 계획을 수립하고, 치료 과정에서 불필요한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다. AI 기반의 알고리즘은 수천 가지의 임상 데이터를 분석해서 특정 질병에 대한 최신 치료 지침과 연구 결과를 제공한다.
의료계에서 AI를 활용한 사례도 있다. IBM이 개발한 의료 AI 로봇 ‘왓슨’은 클라우드 기반 인공지능으로, 환자의 증상만 입력해도 수십 년간 확보된 임상 사례나 전문 자료를 검색해 환자에게 적합한 치료법을 제시한다.
수술 분야에 AI 도입이 필요한 이유 중 하나는 인간 의사가 수술 중 겪을 수 있는 신체적, 정신적 한계를 AI가 보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매스웍스에 따르면, AI를 활용한 백내장 수술의 성공률은 78%로 보고되었다.
현재 인간 의사의 백내장 수술 성공률은 98%로, AI 성공률에 비해 훨씬 높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한 의료 전문가에 의하면, 향후 10년 내에 AI 의사가 수술 정확도를 높여 인간 의사를 따라잡을 것이라 전망하고 있어 환자에게 더 안정적이고 일관된 결과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예측했다.
미국 존스홉킨스대학 교수 연구팀은 ‘스마트 조직 자율 로봇 'STAR'이 돼지의 장을 복합하는 수술을 인간만큼 정확하게 수행했다’라는 결과를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로보틱스'에 발표했다. 인간만큼 높은 정확도로 수술하는 의료 로봇으로 인해 불안감을 떨칠 수 있는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
현재 로봇이 수술을 수행할 때 완벽하게 독립적으로 행동하지는 못하고, 여전히 인간 의료진의 도움을 필요로 한다. 100% 신뢰도를 달성하는 것은 아직 현실화되지 않았지만, AI는 더욱 정교하고 효율적인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힐 것이며, 이는 의료 질의 향상과 환자 안전 보장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밸류체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밸류체인타임스 = 최한영 칼럼니스트]
[밸류체인타임스 = 최한영 칼럼니스트] AI의 확장이 불가피한 현실이 되었으며, 특히 의료 분야에서의 그 역할은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사람들이 AI에 대한 불안감을 표현하지만, 여러 사례를 통해 의료 분야에서 AI가 필수적임이 입증되고 있다.
2020년 인텔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미국의 헬스케어 분야 CEO나 연구자, 투자자 등 리더들 중 84%가 임상 작업에 이미 의료 AI를 도입했거나 도입할 계획이라고 응답했다. 이는 2018년의 37%를 기준으로 2년 사이에 2배 이상 오른 셈이다.
출처=GoodFon
AI는 진단에서 치료 계획 수립, 환자 모니터링에 이르기까지 의료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킨다. 의료진의 업무를 지원하며, 환자의 치료 결과를 개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과거에는 상상할 수 없었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고, 의료 분야에서 AI의 역할이 앞으로 더욱 중요해질 것이다.
AI의 핵심 기여 중 하나는 질병의 정확한 진단이다. 이미지 인식 기술을 활용한 AI 시스템은 X레이, MRI와 같은 의료 영상을 분석하여 정밀한 진단이 가능하다. 특히 암, 뇌졸중, 심장 질환과 같은 중대한 질병의 조기 발견에 있어서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AI는 또한 복잡한 데이터 패턴을 분석하여 질병의 원인을 파악하고 개인별 맞춤형 치료 방안을 제시한다. 초소형 나노 로봇이 몸 안에 들어가 카메라로 의사에게 데이터를 줄 수 있다.
AI 기술은 환자 관리 방식이 탁월하다. 웨어러블 기기와 연동된 AI 시스템을 통해 환자의 건강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다. 이상 징후를 조기에 감지하여 빠른 대응이 가능하다. 특히 만성 질환을 가진 환자들의 건강 관리에 큰 도움을 준다. 또한 AI를 활용한 건강 상담 서비스는 환자가 언제 어디서나 전문적인 의료 조언을 받을 수 있게 한다.
AI는 빅 데이터 분석을 통해 환자의 건강 상태를 예측한다. 가장 효과적인 치료 방안을 주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의료진은 환자 개개인에게 가장 적합한 치료 계획을 수립하고, 치료 과정에서 불필요한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다. AI 기반의 알고리즘은 수천 가지의 임상 데이터를 분석해서 특정 질병에 대한 최신 치료 지침과 연구 결과를 제공한다.
의료계에서 AI를 활용한 사례도 있다. IBM이 개발한 의료 AI 로봇 ‘왓슨’은 클라우드 기반 인공지능으로, 환자의 증상만 입력해도 수십 년간 확보된 임상 사례나 전문 자료를 검색해 환자에게 적합한 치료법을 제시한다.
수술 분야에 AI 도입이 필요한 이유 중 하나는 인간 의사가 수술 중 겪을 수 있는 신체적, 정신적 한계를 AI가 보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매스웍스에 따르면, AI를 활용한 백내장 수술의 성공률은 78%로 보고되었다.
현재 인간 의사의 백내장 수술 성공률은 98%로, AI 성공률에 비해 훨씬 높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한 의료 전문가에 의하면, 향후 10년 내에 AI 의사가 수술 정확도를 높여 인간 의사를 따라잡을 것이라 전망하고 있어 환자에게 더 안정적이고 일관된 결과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예측했다.
미국 존스홉킨스대학 교수 연구팀은 ‘스마트 조직 자율 로봇 'STAR'이 돼지의 장을 복합하는 수술을 인간만큼 정확하게 수행했다’라는 결과를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로보틱스'에 발표했다. 인간만큼 높은 정확도로 수술하는 의료 로봇으로 인해 불안감을 떨칠 수 있는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
출처=Unsplash
현재 로봇이 수술을 수행할 때 완벽하게 독립적으로 행동하지는 못하고, 여전히 인간 의료진의 도움을 필요로 한다. 100% 신뢰도를 달성하는 것은 아직 현실화되지 않았지만, AI는 더욱 정교하고 효율적인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힐 것이며, 이는 의료 질의 향상과 환자 안전 보장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밸류체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밸류체인타임스 = 최한영 칼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