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Unsplash
[밸류체인타임스=이서인 인재기자] 콜라는 코카나무 잎과 콜라나무 열매에서 추출한 원액에 다양한 첨가물과 탄산수를 섞어 만든 탄산음료다. 탄산음료 중 가장 대표적인 음료로, 주로 유리병이나 알루미늄 캔에 넣어 판매된다. 1886년, 미국 애틀랜타의 약사 존 S. 펨버턴에 의해 처음 만들어졌다.
펨버턴은 남북전쟁 당시 남부군으로 참전한 후, 패전 이후 부상과 후유증에 시달리던 시민들이 통증 완화제를 찾기 시작하자 코카나무 잎에서 추출된 코카인이 들어간 포도주 뱅마리아니를 판매했다. 당시 코카인은 신경 자극제 및 통증 완화제로 사용되었다. 1886년, 폴턴군이 금주령을 선포하면서 그는 포도주 대신 탄산수를 넣어 사용하는 새로운 음료를 개발하게 되었고, 이것이 바로 오늘날의 콜라다.
콜라는 초기에 약국에서 판매되며 진통제 역할을 했고, ‘기적의 치료제’로 불리며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다. 그러나 20세기에 들어서 코카인의 부작용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면서 사람들에게 코카인의 중독성과 위험성이 널리 알려지게 됐다. 1900년대 미국 정부에선 코카인을 포함한 여러 약물에 대한 사용을 규제했고, 1904년부터는 코카인을 제거한 콜라가 제조되기 시작했다.
콜라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된 결정적 계기는 제2차 세계대전이었다. 코카콜라는 미군 군수 물자로 채택되어 전 세계 미군 기지에 공급되었고, 이로 인해 전 세계에 급속도로 보급되었다. 당시 미군들은 물 대신 코카콜라를 즐겨 마셨다.
최근에는 소비자들의 혈당 건강을 위해 설탕 대신 인공감미료를 사용한 제로콜라가 인기를 끌고 있다. 특히 당뇨병 환자와 체중 조절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대체 음료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제로콜라가 혈당 개선이나 체중 감량에 실질적인 효과가 있다는 과학적 근거는 아직 충분하지 않다. 또한, 제로콜라에는 인산이 포함되어 있어 칼슘과 함께 섭취할 경우 칼슘 흡수를 방해할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인산이 칼슘과 결합하면 인산칼슘이 되기 때문이다.
제로콜라의 1.5L 기준 인산 함량은 약 250mg에 불과하고, 성인의 인산 하루 최대 권장 섭취량은 4200mg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천연식품을 포함한 대부분의 가공식품에 인산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하루 인산 섭취량이 높을 것이다. 콜라뿐만 아니라 가공식품 자체를 줄여야 의미가 있다. 또한 제로콜라 역시 탄산 음료이기 때문에 산성 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며, 장기간 섭취 시 치아 건강과 뼈 건강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Copyright © 밸류체인타임스.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밸류체인타임스=이서인 인재기자]
[밸류체인타임스=이서인 인재기자]
출처: Unsplash
[밸류체인타임스=이서인 인재기자] 콜라는 코카나무 잎과 콜라나무 열매에서 추출한 원액에 다양한 첨가물과 탄산수를 섞어 만든 탄산음료다. 탄산음료 중 가장 대표적인 음료로, 주로 유리병이나 알루미늄 캔에 넣어 판매된다. 1886년, 미국 애틀랜타의 약사 존 S. 펨버턴에 의해 처음 만들어졌다.
펨버턴은 남북전쟁 당시 남부군으로 참전한 후, 패전 이후 부상과 후유증에 시달리던 시민들이 통증 완화제를 찾기 시작하자 코카나무 잎에서 추출된 코카인이 들어간 포도주 뱅마리아니를 판매했다. 당시 코카인은 신경 자극제 및 통증 완화제로 사용되었다. 1886년, 폴턴군이 금주령을 선포하면서 그는 포도주 대신 탄산수를 넣어 사용하는 새로운 음료를 개발하게 되었고, 이것이 바로 오늘날의 콜라다.
콜라는 초기에 약국에서 판매되며 진통제 역할을 했고, ‘기적의 치료제’로 불리며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다. 그러나 20세기에 들어서 코카인의 부작용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면서 사람들에게 코카인의 중독성과 위험성이 널리 알려지게 됐다. 1900년대 미국 정부에선 코카인을 포함한 여러 약물에 대한 사용을 규제했고, 1904년부터는 코카인을 제거한 콜라가 제조되기 시작했다.
콜라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된 결정적 계기는 제2차 세계대전이었다. 코카콜라는 미군 군수 물자로 채택되어 전 세계 미군 기지에 공급되었고, 이로 인해 전 세계에 급속도로 보급되었다. 당시 미군들은 물 대신 코카콜라를 즐겨 마셨다.
최근에는 소비자들의 혈당 건강을 위해 설탕 대신 인공감미료를 사용한 제로콜라가 인기를 끌고 있다. 특히 당뇨병 환자와 체중 조절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대체 음료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제로콜라가 혈당 개선이나 체중 감량에 실질적인 효과가 있다는 과학적 근거는 아직 충분하지 않다. 또한, 제로콜라에는 인산이 포함되어 있어 칼슘과 함께 섭취할 경우 칼슘 흡수를 방해할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인산이 칼슘과 결합하면 인산칼슘이 되기 때문이다.
제로콜라의 1.5L 기준 인산 함량은 약 250mg에 불과하고, 성인의 인산 하루 최대 권장 섭취량은 4200mg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천연식품을 포함한 대부분의 가공식품에 인산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하루 인산 섭취량이 높을 것이다. 콜라뿐만 아니라 가공식품 자체를 줄여야 의미가 있다. 또한 제로콜라 역시 탄산 음료이기 때문에 산성 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며, 장기간 섭취 시 치아 건강과 뼈 건강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Copyright © 밸류체인타임스.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밸류체인타임스=이서인 인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