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통증이 있다가도 없는 질병, 심장마비ㅣ밸류체인타임스

이소율 인재기자
2025-01-07
조회수 934

(출처: Wikimedia Commons)

[밸류체인타임스=이소율 인재기자] 심장마비(heart attack)는 심장의 일부로 가는 혈류가 갑자기 차단되어 심장 근육의 일부가 괴사되는 위험한 질환이다. 최근 질병관리청의 발표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우리나라의 심근경색증 발생률이 54.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국민 건강에 적신호가 켜졌다. 


심장마비의 원인

심장마비는 주로 관상동맥 중 하나가 혈전에 의해 갑자기 차단될 때 발생한다. 이러한 차단은 대부분 죽상경화증으로 인해 발생하며, 콜레스테롤 및 기타 지방 물질이 동맥벽에 축적되어 형성된 죽종(판, plaque)이 파열되면서 혈전을 유발한다. 


차단된 동맥은 심장 근육의 일부로 혈액을 보내지 못하게 되고, 몇 분 이상 혈류가 막히면 해당 심장 근육 부위가 괴사된다. 이로 인해 심장 박동이 불규칙해질 수 있으며, 박동이 너무 빠르거나 느리게 변하거나 혹은 심장이 완전히 멈추어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심장마비의 증상

심장마비의 증상은 협심증과 비슷하지만, 통증이 더 심하고 지속 시간이 길며, 휴식을 취해도 빠르게 호전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통증은 흉부 중앙뿐만 아니라 등, 턱, 왼팔까지 퍼질 수 있으며, 때로는 오른팔로 번지기도 한다. 


흉부 통증 없이 이러한 부위에서만 통증이 나타나기도 한다. 추가로 호흡곤란, 메스꺼움, 식은땀, 현기증 등의 증상이 동반될 수 있으며, 이 증상들은 심장마비의 중요한 경고 신호로 간주된다.


(출처: Free Malaysia Today)

심장마비의 위험 요인

심장마비의 주요 위험 요인으로는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 비만, 흡연, 스트레스, 운동 부족 등이 있다. 특히 나이가 들수록 위험이 증가하며, 남성이 여성보다 발병 위험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21년 통계에 따르면, 80세 이상 연령대에서 심근경색증 발생률이 가장 높았으며,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발생률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심장마비 발생 시 대처와 치료

심장마비 발생 시 신속한 대처는 생명과 직결된다. 의료진은 가능한 한 많은 심장 근육을 보호하기 위해 막힌 동맥을 빠르게 개통하는 것을 최우선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환자를 병원으로 이송해 혈관 개통을 위한 치료를 시작하며, 심장 박동과 혈압을 조절하고 혈전을 예방하는 약물을 투여한다. 동시에 심장의 부담을 줄이기 위한 약물 치료도 병행된다. 

차단된 관상동맥의 위치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달라질 수 있다. 일부 환자에게는 혈관 성형술(스텐트 삽입 등)이 시행되고, 다른 경우에는 우회로 조성술(심장 우회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 또한, 베타차단제와 같은 약물을 사용해 심장 근육 손상을 줄이고 향후 심장마비 재발을 예방하는 치료가 함께 이루어진다. 


심장마비의 예방

심장마비를 예방하려면 먼저 심장을 손상시킬 수 있는 행동을 개선해야 한다. 신선한 과일 및 채소, 고섬유질 음식을 섭취하고, 육류, 유제품, 가공 식품의 섭취를 줄인다. 걷기를 해서 활동성을 유지하며, 매일 30~40분 정도의 유산소 운동이 권장된다. 흡연, 음주, 또는 불법 약물 사용을 중단하고 약을 정확한 사용법으로 복용해야 한다.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통해 혈압, 콜레스테롤, 혈당 수치를 관리하는 것도 필수적이다.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등의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 의사의 지시에 따라 약물을 정확히 복용해야 한다. 


심장마비는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질환이지만, 적절한 예방과 신속한 대처를 통해 그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다. 건강한 생활 습관 유지와 정기적인 건강검진, 심장마비 증상에 대한 인식이 중요하다. 만약 심장마비 증상이 의심된다면 즉시 119에 연락하고, 가능하다면 아스피린을 복용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심장마비는 때로는 경미한 증상만을 보이거나 심지어 무증상으로 나타날 수도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따라서 평소 자신의 건강 상태에 관심을 갖고, 의심되는 증상이 있다면 신속히 의료진의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 모두가 심장 건강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예방에 힘쓴다면, 건강한 사회를 만드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저작권자 © 밸류체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밸류체인타임스=이소율 인재기자]

0


경기도 부천시 삼작로108번길 48, 201호

대표전화 02 6083 1337 ㅣ팩스 02 6083 1338

대표메일 vctimes@naver.com


법인명 (주)밸류체인홀딩스

제호 밸류체인타임스

등록번호 아53081

등록일 2021-12-01

발행일 2021-12-01 

발행인 김진준 l 편집인 김유진 l 청소년보호책임자 김유진



© 2021 밸류체인타임스.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