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밸류체인타임스 = 황태웅 인재기자] 벨로바이크(Velobike)는 2018년 뉴질랜드에서 설립된 트랙 바이크 브랜드다. 올림픽 경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트랙 바이크를 제작한다. 주로 공상과학, 소설 속 산업 디자인, 차량, 문명 등에서 영감을 받아 디자인한다.
벨로바이크의 수석 디자이너 글랜 캐치폴(Glenn Catchpole)은 2004년 아테네 올림픽 트랙 선수들을 보고 자전거 디자인에 대한 꿈을 키웠다. 이후 2012년에 산업 디자인을 전공하고 벨로바이크를 창립했다.
그는 벨로드롬 경기장 주변으로 이사하면서 더욱 많은 아이디어를 구상할 수 있었다. 글랜 캐치폴의 디자인 철학은 "가치를 더하는 것"이다. 글랜 캐치폴은 "경기에서 제가 가장 빠른 라이더는 아니지만, 경쟁의 일부가 되어 자랑스럽습니다"라고 말했다.
벨로바이크가 세상에 알려지게 된 계기는 핸들바다. 흔히 번치바라고 불리는 이 핸들바에 뿔 모양을 추가해 그립력을 향상시키고 편한 자세로 탈 수 있도록 설계됐다. 글랜 캐치폴은 한 선수의 요청으로 두 달 만에 프로토타입을 완성시켰으며, 이후 도쿄 올림픽에서 많은 트랙 바이크 선수들이 벨로바이크의 핸들바를 사용하게 됐다.

www.velobike.co.nz
벨로바이크는 프레임, 핸들바, 스템, 휠, 체인링, 코그, 악세사리 등 여러 트랙 바이크 부품을 생산한다. 벨로바이크 M2 프레임은 UCI, ISO 등에서 공식 인증을 받은 프레임으로 오픈몰드* 프레임이지만 일본 Toray T1000 카본을 사용한다. 기본 구성은 프레임, 포크, 싯트포스트, 안장 클램프, 싯클램프, 헤드셋 베어링 등이다. 가격은 공식 홈페이지 기준으로 2,271,000원이다.

www.velobike.co.nz
벨로바이크의 핸들바는 skat 인튜어런스바, 알티아스 스프린트바, 번치바, 트랙 스프린트 핸들바가 있다. skat 인튜어런스바는 후드 부분의 디자인을 최대 4가지로 변경 가능한 핸들바다. 그립 A, B, C, D가 있으며 볼트로 체결할 수 있다.
ISO 기준에서 1.5배의 강성을 자랑한다. 또한 미세한 비대칭 디자인으로 여러 사람에 손에 맞게 디자인됐다. 사이즈는 270mm, 300mm, 325mm, 350mm가 있으며, 가격은 공식 홈페이지 기준 1,052,000원이다.

www.velobike.co.nz C 그립
알티아스 스프린트바는 타사의 핸들바보다 7.93% 더 높은 에어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특이한 스템 체결 방식이 특징이다. 스템과 연결해주는 어댑터를 핸들바에 볼트로 고정하고, 스템을 4개의 볼트로 고정한다. ISO 기준에서 2배의 강성을 자랑한다. 사이즈는 skat 인튜어런스바와 동일하다. 가격은 공식 홈페이지 기준 1,010,000원이다.

www.velobike.co.nz
번치바는 여러 브랜드에서 상용화된 핸들바다. 4가지 포지션으로 그립을 잡을 수 있으며 사이즈는 330mm다. 금메달 2개, 은메달 2개를 벨로바이크 번치바가 장착되어 있는 자전거로 수상했으며, 이는 뉴질랜드 베스트 디자인 어워드 골드핀을 수상한 디자인이다. 가격은 알티아스 스프린트바와 동일하다. 이외 트랙 스프린트 핸들바는 스탠딩 자세를 할 때 손목 부담을 줄였다. 가격은 비교적 저렴한 528,000원이다.

www.velobike.co.nz
벨로바이크의 스템은 롱보이가 대표적이다. 롱보이는 이름 그대로 120mm에서 200mm까지 제작된다. 타사에 비해 매우 긴 스템 사이즈로 출시되어 스템이 길면 포지션이 낮아져서 공기 저항을 덜 받는다. 롱보이 스템은 ISO 기준에서 두 배의 강성을 자랑한다. 롱보이는 일반 버전과 LOOK 프레임에 사용되는 전용 스템으로도 출시된다. LOOK T20, 895, L96 및 R96에 사용 가능하다.

www.velobike.co.nz
벨로바이크의 체인링과 코그는 엔듀오, 엘리트로 나뉜다. 엔듀오는 타사 체인링과 완전히 다른 방식으로 톱니바퀴 수를 2배 줄였다. 기존 체인링은 체인과의 미세한 갭이 존재했지만 엔듀오 체인링, 코그는 그 갭을 줄였다. 엘리트 체인링, 코그는 기존에 있던 제품과 비슷한 방식의 체인링, 코그로 2022년 남자 스프린트에서 엘리트 제품으로 우승을 차지했다.

www.velobike.co.nz
또한,공식 홈페이지에서는 이즈미 체인, 빅토리아 타이어, 시마노 제품 등 우수한 제품을 타사에 판매 중이다.
저작권자 © 밸류체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밸류체인타임스 = 황태웅 인재기자]
[밸류체인타임스 = 황태웅 인재기자] 벨로바이크(Velobike)는 2018년 뉴질랜드에서 설립된 트랙 바이크 브랜드다. 올림픽 경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트랙 바이크를 제작한다. 주로 공상과학, 소설 속 산업 디자인, 차량, 문명 등에서 영감을 받아 디자인한다.
벨로바이크의 수석 디자이너 글랜 캐치폴(Glenn Catchpole)은 2004년 아테네 올림픽 트랙 선수들을 보고 자전거 디자인에 대한 꿈을 키웠다. 이후 2012년에 산업 디자인을 전공하고 벨로바이크를 창립했다.
그는 벨로드롬 경기장 주변으로 이사하면서 더욱 많은 아이디어를 구상할 수 있었다. 글랜 캐치폴의 디자인 철학은 "가치를 더하는 것"이다. 글랜 캐치폴은 "경기에서 제가 가장 빠른 라이더는 아니지만, 경쟁의 일부가 되어 자랑스럽습니다"라고 말했다.
벨로바이크가 세상에 알려지게 된 계기는 핸들바다. 흔히 번치바라고 불리는 이 핸들바에 뿔 모양을 추가해 그립력을 향상시키고 편한 자세로 탈 수 있도록 설계됐다. 글랜 캐치폴은 한 선수의 요청으로 두 달 만에 프로토타입을 완성시켰으며, 이후 도쿄 올림픽에서 많은 트랙 바이크 선수들이 벨로바이크의 핸들바를 사용하게 됐다.
www.velobike.co.nz
벨로바이크는 프레임, 핸들바, 스템, 휠, 체인링, 코그, 악세사리 등 여러 트랙 바이크 부품을 생산한다. 벨로바이크 M2 프레임은 UCI, ISO 등에서 공식 인증을 받은 프레임으로 오픈몰드* 프레임이지만 일본 Toray T1000 카본을 사용한다. 기본 구성은 프레임, 포크, 싯트포스트, 안장 클램프, 싯클램프, 헤드셋 베어링 등이다. 가격은 공식 홈페이지 기준으로 2,271,000원이다.
www.velobike.co.nz
벨로바이크의 핸들바는 skat 인튜어런스바, 알티아스 스프린트바, 번치바, 트랙 스프린트 핸들바가 있다. skat 인튜어런스바는 후드 부분의 디자인을 최대 4가지로 변경 가능한 핸들바다. 그립 A, B, C, D가 있으며 볼트로 체결할 수 있다.
ISO 기준에서 1.5배의 강성을 자랑한다. 또한 미세한 비대칭 디자인으로 여러 사람에 손에 맞게 디자인됐다. 사이즈는 270mm, 300mm, 325mm, 350mm가 있으며, 가격은 공식 홈페이지 기준 1,052,000원이다.
www.velobike.co.nz C 그립
알티아스 스프린트바는 타사의 핸들바보다 7.93% 더 높은 에어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특이한 스템 체결 방식이 특징이다. 스템과 연결해주는 어댑터를 핸들바에 볼트로 고정하고, 스템을 4개의 볼트로 고정한다. ISO 기준에서 2배의 강성을 자랑한다. 사이즈는 skat 인튜어런스바와 동일하다. 가격은 공식 홈페이지 기준 1,010,000원이다.
www.velobike.co.nz
번치바는 여러 브랜드에서 상용화된 핸들바다. 4가지 포지션으로 그립을 잡을 수 있으며 사이즈는 330mm다. 금메달 2개, 은메달 2개를 벨로바이크 번치바가 장착되어 있는 자전거로 수상했으며, 이는 뉴질랜드 베스트 디자인 어워드 골드핀을 수상한 디자인이다. 가격은 알티아스 스프린트바와 동일하다. 이외 트랙 스프린트 핸들바는 스탠딩 자세를 할 때 손목 부담을 줄였다. 가격은 비교적 저렴한 528,000원이다.
www.velobike.co.nz
벨로바이크의 스템은 롱보이가 대표적이다. 롱보이는 이름 그대로 120mm에서 200mm까지 제작된다. 타사에 비해 매우 긴 스템 사이즈로 출시되어 스템이 길면 포지션이 낮아져서 공기 저항을 덜 받는다. 롱보이 스템은 ISO 기준에서 두 배의 강성을 자랑한다. 롱보이는 일반 버전과 LOOK 프레임에 사용되는 전용 스템으로도 출시된다. LOOK T20, 895, L96 및 R96에 사용 가능하다.
www.velobike.co.nz
벨로바이크의 체인링과 코그는 엔듀오, 엘리트로 나뉜다. 엔듀오는 타사 체인링과 완전히 다른 방식으로 톱니바퀴 수를 2배 줄였다. 기존 체인링은 체인과의 미세한 갭이 존재했지만 엔듀오 체인링, 코그는 그 갭을 줄였다. 엘리트 체인링, 코그는 기존에 있던 제품과 비슷한 방식의 체인링, 코그로 2022년 남자 스프린트에서 엘리트 제품으로 우승을 차지했다.
www.velobike.co.nz
또한,공식 홈페이지에서는 이즈미 체인, 빅토리아 타이어, 시마노 제품 등 우수한 제품을 타사에 판매 중이다.
저작권자 © 밸류체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밸류체인타임스 = 황태웅 인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