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균사체 활용해 가죽 대체 소재 만드는 기술 특허등록
- 화학약품, 물 사용량 크게 줄일 수 있어 환경친화적
- 민관 협업 체계 구축으로 상품화 박차
[밸류체인타임스= 박선주기자] 식재료로 사랑받는 버섯이 가죽 대체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버섯가죽으로 만든 시제품 (사진= 농촌진흥청)
농촌진흥청은 지난해 버섯 균사체를 활용한 스티로폼 대체 포장재를 개발한 데 이어, 이번에는 민관 협업으로 버섯 가죽 만드는 기술을 개발하고 상품화에 나선다고 밝혔다.
버섯의 자실체와 균사체 (사진= 농촌진흥청)
버섯의 뿌리 부분인 균사체는 실처럼 가는 균사가 그물망처럼 치밀하게 얽혀 있어 산업용 소재로 활용도가 높다.
농촌진흥청은 다른 버섯보다 생장 속도가 빠르고 균일하게 자라는 영지버섯 균사체를 선발한 뒤, 농산부산물인 톱밥 위에 면섬유를 놓고 여기서 균사체가 자라도록 배양했다. 자란 균사체만을 수확해 습윤 처리 등 가공 공정을 거쳐 버섯 가죽 원단을 만들었다.
이어 버섯 가죽의 완성도를 높여 상품화를 앞당기고자 농가, 산업체와 민관 협업 체계를 구축했다.
연구진은 배양 기술을 이전해 간 농가를 대상으로 우수 균주 제조 기술을지원하고, 농가는 버섯 대량 배양 시설을 활용해 버섯 가죽 원단을 대량으로 배양했다. 또한, 가공 전문 업체는 농가에서 배양한 원단의 내구성을높이고 원단에 무늬를 넣는 등 상품성을 높일 수 있는 공정을 추가해 동물 가죽과 비슷한 질감을 내도록 기술의 완성도를 높였다.
이렇게 삼자 협업으로 만든 버섯 소재 가죽을 한국의류시험연구원에 의뢰해 내구성을 분석한 결과, 버섯 가죽 원단의 질긴 정도를 나타내는 인장절단하중*, 인열하중**이 의류용 가죽류(피혁류) 섬유제품 권장기준(KS M 6888-2016)보다 약 1.7배, 약 3.5배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옷감이 마찰에 견디는 정도(내마모성***(ASTM D 4966-2012))도 권장기준(2만 회)보다 높게(3만 회) 나타났다.
* 인장절단하중이란 가죽 시료를 잡아당겨 절단될 때의 하중(무게)
** 인열하중이란 가죽 시료를 찢는 데 필요한 힘
*** 내마모성이란 옷감이 일정 강도의 마찰에 견디는 능력
일반적으로 동물 가죽은 동물성 단백질을 광물성 단백질로 변성하는 가공 과정에서 많은 양의 화학약품을 사용한다. 게다가 대부분의 가공 공정이 습식으로 이뤄져 있어 물 사용량이 많고, 이 과정에서 대량의 고형폐기물이 발생한다. 이와 달리 버섯 가죽은 탄소 배출량과 물 사용량을 90% 이상 줄일 수 있고, 인체에 해로운 화학약품을 전혀 사용하지 않아서 환경친화적이다.
농촌진흥청은 이번 기술의 특허등록*을 마쳤으며, 앞으로 가죽 전문 회사와의 세부적인 상품화 협의를 거쳐 손가방과 액세서리 등 다양한 버섯 가죽상품을 빠르게 시장에 선보일 예정이다.
*특허등록번호와 특허등록명: 10-2578118, 영지버섯 균사체를 포함하는 가죽 대체 소재의 제조 방법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 장갑열 과장은 “이번 연구는 민관이 협업해 상품화 가능성이 높은 버섯 가죽 제조 기술 협력체계를 구축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라며 “가죽 소재 외에도 버섯 균사체가 포장 소재, 완충재, 건축자재 등 다양한 제품으로 개발될 수 있도록 농가, 관련 업체와 힘을 모아 시장확산을 선도하겠다.”라고 전했다.
한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자료(ASTI Market Insight(2022))에 따르면식물 섬유질 기반(비건) 가죽의 세계 시장 규모는 2026년 8억 6,850만 달러에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 가운데 버섯 가죽의 시장 규모는 33% 정도인 2억 8,910만 달러로 예측된다.
붙임. 버섯 가죽으로 만든 시제품과 내구성 분석 결과
버섯가죽 핸드백 (사진= 농촌진흥청)
버섯가죽 카드지갑과 악세사리, 구두 (사진 = 농촌진흥청)
<버섯 가죽 내구성 분석 결과>
자료출처 = 농촌진흥청
저작권자 © 밸류체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밸류체인타임스 = 박선주기자]
- 균사체 활용해 가죽 대체 소재 만드는 기술 특허등록
- 화학약품, 물 사용량 크게 줄일 수 있어 환경친화적
- 민관 협업 체계 구축으로 상품화 박차
[밸류체인타임스= 박선주기자] 식재료로 사랑받는 버섯이 가죽 대체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버섯가죽으로 만든 시제품 (사진= 농촌진흥청)
농촌진흥청은 지난해 버섯 균사체를 활용한 스티로폼 대체 포장재를 개발한 데 이어, 이번에는 민관 협업으로 버섯 가죽 만드는 기술을 개발하고 상품화에 나선다고 밝혔다.
버섯의 자실체와 균사체 (사진= 농촌진흥청)
버섯의 뿌리 부분인 균사체는 실처럼 가는 균사가 그물망처럼 치밀하게 얽혀 있어 산업용 소재로 활용도가 높다.
농촌진흥청은 다른 버섯보다 생장 속도가 빠르고 균일하게 자라는 영지버섯 균사체를 선발한 뒤, 농산부산물인 톱밥 위에 면섬유를 놓고 여기서 균사체가 자라도록 배양했다. 자란 균사체만을 수확해 습윤 처리 등 가공 공정을 거쳐 버섯 가죽 원단을 만들었다.
이어 버섯 가죽의 완성도를 높여 상품화를 앞당기고자 농가, 산업체와 민관 협업 체계를 구축했다.
연구진은 배양 기술을 이전해 간 농가를 대상으로 우수 균주 제조 기술을지원하고, 농가는 버섯 대량 배양 시설을 활용해 버섯 가죽 원단을 대량으로 배양했다. 또한, 가공 전문 업체는 농가에서 배양한 원단의 내구성을높이고 원단에 무늬를 넣는 등 상품성을 높일 수 있는 공정을 추가해 동물 가죽과 비슷한 질감을 내도록 기술의 완성도를 높였다.
이렇게 삼자 협업으로 만든 버섯 소재 가죽을 한국의류시험연구원에 의뢰해 내구성을 분석한 결과, 버섯 가죽 원단의 질긴 정도를 나타내는 인장절단하중*, 인열하중**이 의류용 가죽류(피혁류) 섬유제품 권장기준(KS M 6888-2016)보다 약 1.7배, 약 3.5배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옷감이 마찰에 견디는 정도(내마모성***(ASTM D 4966-2012))도 권장기준(2만 회)보다 높게(3만 회) 나타났다.
* 인장절단하중이란 가죽 시료를 잡아당겨 절단될 때의 하중(무게)
** 인열하중이란 가죽 시료를 찢는 데 필요한 힘
*** 내마모성이란 옷감이 일정 강도의 마찰에 견디는 능력
일반적으로 동물 가죽은 동물성 단백질을 광물성 단백질로 변성하는 가공 과정에서 많은 양의 화학약품을 사용한다. 게다가 대부분의 가공 공정이 습식으로 이뤄져 있어 물 사용량이 많고, 이 과정에서 대량의 고형폐기물이 발생한다. 이와 달리 버섯 가죽은 탄소 배출량과 물 사용량을 90% 이상 줄일 수 있고, 인체에 해로운 화학약품을 전혀 사용하지 않아서 환경친화적이다.
농촌진흥청은 이번 기술의 특허등록*을 마쳤으며, 앞으로 가죽 전문 회사와의 세부적인 상품화 협의를 거쳐 손가방과 액세서리 등 다양한 버섯 가죽상품을 빠르게 시장에 선보일 예정이다.
*특허등록번호와 특허등록명: 10-2578118, 영지버섯 균사체를 포함하는 가죽 대체 소재의 제조 방법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 장갑열 과장은 “이번 연구는 민관이 협업해 상품화 가능성이 높은 버섯 가죽 제조 기술 협력체계를 구축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라며 “가죽 소재 외에도 버섯 균사체가 포장 소재, 완충재, 건축자재 등 다양한 제품으로 개발될 수 있도록 농가, 관련 업체와 힘을 모아 시장확산을 선도하겠다.”라고 전했다.
한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자료(ASTI Market Insight(2022))에 따르면식물 섬유질 기반(비건) 가죽의 세계 시장 규모는 2026년 8억 6,850만 달러에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 가운데 버섯 가죽의 시장 규모는 33% 정도인 2억 8,910만 달러로 예측된다.
붙임. 버섯 가죽으로 만든 시제품과 내구성 분석 결과
버섯가죽 핸드백 (사진= 농촌진흥청)
버섯가죽 카드지갑과 악세사리, 구두 (사진 = 농촌진흥청)
<버섯 가죽 내구성 분석 결과>
자료출처 = 농촌진흥청
저작권자 © 밸류체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밸류체인타임스 = 박선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