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승정지 증후군, 번 아웃 증후군의 이해와 대처 방안 ㅣ 밸류체인타임스

강유희 칼럼니스트
2024-06-18
조회수 3175

[밸류체인타임스 = 강유희 수습기자] 상승정지 증후군(Rising Stop Sundrome)이란 계획했던 목표 지점까지 도달하여 더 이상 올라갈 수 없을 때 공허함을 느끼는 심리학적 현상이다. 다른 경우에는 갑작스럽게 육체적, 정신적 변화가 나타났을 때 삶에 허무함을 느낀다.


상승정지 증후군의 원인은 정확하게 알려지 않았지만 전문가들은 '다양한 상황이나 감정 등이 섞여 발생하는 복합적인 심리 현상'이라고 말했다. 상승정지 증후군의 증상으로 신체적 피로, 수면부족, 집중력 저하, 불안감, 우울감 등이 있다.


상승정지 증후군은 중년기 증후군으로 불릴 만큼 중년층 비율이 높다. 퇴직을 하며 노인이 되어가는 자신의 모습에 회의감을 느껴 상승정지 증후군으로 이어진다. 상승정지 증후군은 중년층에게만 나타나는 현상이 아니다. 현대 사회에서 남녀노소 누구나 상승정지 증후군을 겪을 수 있다.


상승정지 증후군의 치료 방법은 심리치료센터나 정신과에서 상담을 받아야 한다. 상승정지 증후군은 초기에 상담을 받으면 가볍게 완치가 가능하다. 다른 방법으로는 휴식이나 운동, 독서, 요리 등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다양한 취미생활을 가지는 것이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명상 등이 정신적인 휴식 방법도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된다고 밝혀졌다. 균형 잡힌 식단과 규칙적인 수면 패턴을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다. 건강한 생활 습관은 신체적, 정신적 안정을 돕는다.

출처: Unsplash

상승정지 증후군과 유사한 심리학적 현상으로 번 아웃 증후군(Burnout Syndrome)이 있다. 번 아웃 증후군과 높은 성과에 대한 압박이나 과도한 업무 시간 등 스트레스로 인해 의욕과 동기를 완전히 상실하고 자존감이 저하되며 사람이 차갑게 변하는 현상이다.


번 아웃 증후군은 단순한 스트레스를 넘어 자기혐오, 분노, 업무 효율성 저하 등 직장 생활에 지장을 줄 뿐 아니라 일상 생활에도 지장을 준다. 번 아웃 증후군의 원인은 공적인 일과 사적인 일이 구분되어 있지 않고, 과도한 업무량과 압박, 업무 보상 부족, 부정적인 인간관계, 개인의 특성 등이 있다.


번 아웃 증후군의 극복 방법은 업무량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스트레스의 원인인 과도한 업무량을 줄여 부담을 줄여야 한다. 두 번째 방법은 충분한 휴식시간을 가져야 한다. 충분한 휴식시간은 몸과 마음을 편안하게 해주고 스트레스를 줄여준다. 다른 방법으로는 주변 사람들과 대화하는 것이다. 주변인들과 대화를 하면 속에 있는 답답함을 풀 수 있다.


전문적인 상담이나 코칭을 통해 자신의 상황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스트레스 관리 기법을 배우는 것도 유익하다. 또한, 취미 활동이나 운동, 여행 등을 통해 자신에게 재충전의 시간을 주는 것도 중요하다.


상승정지 증후군과 번 아웃 증후군은 현대 사회에서 많은 사람들이 겪는 심리적 문제로, 이를 예방하고 극복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상태를 잘 파악하고 적절한 대응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정기적인 정신건강 검진을 통해 조기에 문제를 발견하고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것도 필요하다. 사회적 지지 시스템을 강화하고, 개인의 스트레스 관리 능력을 키우는 교육 프로그램도 유용하다.


상승정지 증후군과 번 아웃 증후군을 예방하기 의해서는 일과 삶의 균형을 유지하고, 자신의 한계를 인지하며 무리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개인의 정신적, 신체적 건강을 지키고, 더 나은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다.


저작권자 © 밸류체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밸류체인타임스 = 강유희 수습기자]

0

성경 속 예술가들 | 밸류체인타임스
황지민 인재기자 20시간전

POST NEWS



경기도 부천시 삼작로108번길 48, 201호

대표전화 02 6083 1337 ㅣ팩스 02 6083 1338

대표메일 vctimes@naver.com


법인명 (주)밸류체인홀딩스

제호 밸류체인타임스

등록번호 아53081

등록일 2021-12-01

발행일 2021-12-01 

발행인 김진준 l 편집인 김유진 l 청소년보호책임자 김유진



© 2021 밸류체인타임스.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