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모의 경제와 이익은 무엇일까?ㅣ밸류체인타임스

이소율 인재기자
2024-05-04
조회수 3859

(출처:unsplash)

[밸류체인타임스=이소율 인재기자] ‘규모의 경제’는 투입규모가 커질수록 장기기간 동안의 평균비용이 줄어드는 현상을 뜻한다. 반대로 생산량이 늘어남에 따라 평균비용이 감소하는 현상을 ‘규모의 이익’이라고 한다. 생산량의 변동 여하에 관계 없이 불변적으로 지출되는 비용을 ‘고정비용’이라고 한다. 고정비용은 주로 대기업에서 발생한다.


규모의 경제

‘규모의 경제’는 생산 규모의 확대에 부응하여 생산물 한 단위당 비용이 삭감되는 것을 뜻한다. 투입된 각 생산 요소의 총량의 변화에서 생기는 것으로서 생산 요소 사이에 비율의 변화가 생기는 것이 아니라 설비가 일정한 전제 아래에서 각 생산 요소 간의 비율 변화에서 생겨나는 대량생산의 이익과는 엄밀히 구별되어야만 한다. 규모의 이익은 한 기업내의 생산 규모의 확대로 생겨날 뿐만 아니라 산업 전체의 일반적 발전에서도 생겨난다. 이 경우 전자를 내부 경제, 후자를 외부 경제라고 한다.


(출처:unsplash)

규모의 이익

규모의 이익은 생산비의 분석에 관한 법칙 중 하나다. 생산비는 일반비용과 특수비용 혹은 불변비용과 가변비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비용 혹은 불변비용이란 생산량의 다소에 관계 없이 생산이 행하여지는 한 필요로 하는 생산비다. 생산비에는 토지, 건물 등의 시설비용과 일반 관리비용, 기술개발 연구비 등이 포함되어 있다.


다음 특수비용 혹은 가변비용이란 생산량의 증감에 따라 변화하는 비용을 말한다. 즉 임금, 원료 광열비 등이 이에 해당된다. 일반비용과 특수비용을 합한 총생산비를 총생산물로 나누면 평균비용이 나온다. 불변비용이 있기 때문에 평균비용은 생산량의 증대와 더불어 처음에는 감소한다. 

그러나 이것은 가변비용의 증대에 따라 생산량이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상쇄되어 버리고 오히려 체증으로 향한다. 한계생산비도 처음에는 감소하지만 이윽고 증가한다. 이것은 ‘한계생산력체감의 법칙’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출처:unsplash)

규모의 경제와 범위 경제의 주요 차이점

규모의 경제와 범위의 경제 사이의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생산 단위의 양을 늘림으로써 비용 절감에 사용되는 전략을 ‘범위 경제’라고한다. 규모의 경제란 동일한 작업이나 투입물을 가진 여러 제품을 생산함으로써 비용을 낮추는 기술을 의미한다. 


규모의 경제가 실현되면 제품을 생산하는 평균 비용이 절감된다. 범위의 경제는 여러 제품을 생산하는 데 드는 비용을 비례하여 절감한다. 규모의 경제에서, 회사는 대량으로 인한 비용 효율성을 얻지만 범위의 경제에서의 비용 효율성은 제공된 품종으로 인한 것이다.


규모의 경제는 장기간에 걸쳐 조직에서 사용됐다. 반대로, 경제 영역은 비교적 새로운 전략이다. 규모의 경제에는 제품 표준화가 포함되는 반면, 범위의 경제에는 동일한 규모의 공장을 사용하는 제품 다양화가 포함된다. 규모의 경제에서 더 큰 공장이 대량의 생산물을 생산하는 데 사용된다. 같은 식물이 별개의 제품을 생산하는 데 사용되는 범위의 경제와는 대조적이다.


결론

경쟁 시대에 기업이 초과 비용을 줄이고, 제품을 저렴한 가격에 제공하며, 시장 점유율을 높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규모의 경제와 범위 경제는 모두 비용 절감을 가져 오지만 개념이 다르므로 출력량을 늘리고 제공하는 제품의 수를 늘려 비용을 낮춰야 한다.


저작권자 © 밸류체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밸류체인타임스=이소율 인재기자]



0

성경 속 예술가들 | 밸류체인타임스
황지민 인재기자 19시간전

POST NEWS



경기도 부천시 삼작로108번길 48, 201호

대표전화 02 6083 1337 ㅣ팩스 02 6083 1338

대표메일 vctimes@naver.com


법인명 (주)밸류체인홀딩스

제호 밸류체인타임스

등록번호 아53081

등록일 2021-12-01

발행일 2021-12-01 

발행인 김진준 l 편집인 김유진 l 청소년보호책임자 김유진



© 2021 밸류체인타임스.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