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밸류체인타임스 = 강유희 칼럼니스트] 1월 23일은 대한두통학회가 지정한 '두통의 날'이다. 이 날은 일주일에 두 번 이상 두통이 지속될 경우, 3개월 내에 전문의를 방문하여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는 경각심을 일깨워준다. 우리가 흔히 경험하는 두통은 편두통이지만, 두통에는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두통의 종류
두통은 크게 특정한 원인 없이 생기는 원발두통, 질환에 의해 발병하는 이차두통으로 나뉜다. 원발두통은 특정한 기저 질환 없이 발생하는 두통으로, 대표적으로 편두통, 긴장두통, 군발두통이 있다.
편두통은 주로 머리 한쪽에 맥박이 뛰는 듯한 통증이 나타나며, 구토, 빛과 소리에 대한 민감성 증가 등의 증상이 동반될 수 있다. 긴장두통은 머리 전체 또는 양쪽에 둔하고 조이는 듯한 통증이 특징이며, 스트레스나 근육 긴장과 관련이 깊다. 군발두통은 주로 눈 주변에 심한 통증이 주기적으로 발생하며, 눈물이나 코막힘 등의 자율신경 증상이 동반된다.
이차두통은 기저 질환이나 외상, 약물 과다복용 등에 의해 발생하는 두통이다. 외상성 두통은 머리 부위에 외상이 발생한 후 나타나는 두통으로, 뇌진탕 등의 후유증일 수 있다. 약물 과다복용 두통은 진통제를 과도하게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두통으로, 약물 사용을 줄이면 호전될 수 있다. 질병성 두통은 뇌종양, 뇌출혈, 뇌염 등 심각한 질환에 의해 발생하는 두통으로, 즉각적인 의료 조치가 필요하다.
![](https://cdn.imweb.me/upload/S20210927e14f9f0cf71bc/5abe77175e28d.jpg)
출처: Unsplash
두통의 원인
편두통은 신경혈관성 질환으로, 뇌의 혈관 확장과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이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세로토닌(5-HT) 수치의 변동과 관련이 깊으며, 유전적 요인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스트레스, 특정 음식, 호르몬 변화 등이 유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긴장 두통은 주로 목과 어깨 근육의 긴장으로 인해 발생한다. 장시간의 컴퓨터 사용, 잘못된 자세, 정신적 스트레스 등이 근육 긴장을 유발하여 두통을 초래한다. 또한, 뇌의 통증 억제 메커니즘이 저하되면서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
군발두통의 원인은 뇌에서 조절할 수 있는 생활 리듬 이상, 뇌혈관 장애, 뇌 신경과 관련되어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원발두통은 통증의 정확한 원인은 팍악되지 않은 상태이지만 주로 긴장, 스트레스, 수면 부족, 호르몬 변화 등으로 인해 생긴다.
두통의 예방 및 치료 방법
규칙적인 수면, 균형 잡힌 식사, 충분한 수분 섭취는 두통 예방에 도움이 된다.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은 긴장두통과 편두통의 빈도를 줄이는 데 효과적이다. 과도한 카페인 섭취, 특정 음식, 강한 빛이나 소음 등 두통을 유발하는 자극 요소를 피한다.
약물 치료
진통제
아세트아미노펜과 이부프로펜과 같은 일반 진통제는 경미한 두통에 효과적이다. 아세트아미노펜은 통증 신호를 차단하고 열을 낮추는 작용을 하며, 이부프로펜은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로 염증을 감소시키고 통증을 완화시킨다. 이러한 진통제는 빠르게 증상을 완화시켜주지만, 과다 복용 시 간 손상이나 위장 출혈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트립탄 계열 약물
트립탄 계열 약물은 편두통 치료에 특히 효과적이다. 이 약물들은 세로토닌 5-HT1 수용체에 작용하여 뇌혈관을 수축시키고, 신경 전달을 조절함으로써 편두통의 심각한 통증을 완화시킨다. 트립탄은 편두통 발작 초기에 복용할 때 가장 효과적이며, 미토프라나롤이나 수마트립탄과 같은 다양한 종류가 있다. 그러나 심혈관 질환이 있는 환자에게는 사용에 주의가 필요하다.
예방 약물
베타차단제, 항우울제, 항경련제 등은 만성 두통 예방에 사용될 수 있다. 베타차단제는 혈압을 낮추는 효과 외에도 두통의 빈도와 강도를 줄이는 데 도움을 준다. 항우울제는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의 재흡수를 억제하여 통증 인지와 관련된 신경 경로를 조절한다. 항경련제는 신경 흥분을 안정시켜 두통의 발생을 예방한다. 이러한 예방 약물은 정기적으로 복용해야 효과를 볼 수 있으며,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의료 전문가의 지도가 필요하다.
비약물 치료
신경 차단술
신경 차단술은 주로 군발두통 환자에게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다. 이 시술은 특정 신경 부위에 국소 마취제를 주입하여 통증 신호를 차단하거나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삼차신경 차단술은 심한 얼굴 통증을 완화시키는 데 사용된다. 신경 차단술은 일시적인 통증 완화 효과를 제공하며, 반복적인 시술을 통해 장기적인 통증 관리가 가능하다.
인지행동치료(CBT)
인지행동치료는 만성 두통 환자의 통증 관리와 심리적 스트레스 감소에 도움을 준다. 이 치료법은 환자가 통증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키고, 스트레스 관리 기술을 습득하도록 돕는다. CBT는 통증과 관련된 부정적인 사고 패턴을 수정하고, 이완 기술을 통해 신체적 긴장을 완화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연구에 따르면, CBT는 두통의 빈도와 강도를 줄이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물리치료
물리치료는 근육 긴장을 완화하고, 잘못된 자세를 교정하여 긴장두통을 예방하는 데 유용하다. 스트레칭, 마사지, 초음파 치료 등 다양한 물리치료 기법이 사용되며, 이는 근육의 혈액 순환을 개선하고 통증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물리치료사는 환자의 생활 습관을 분석하고, 올바른 자세와 운동 방법을 교육하여 재발을 방지한다.
두통은 다양한 원인과 형태로 발생할 수 있으며, 각기 다른 치료 방법이 필요하다. 두통이 일주일에 두 번 이상 지속될 경우,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위해 전문의를 방문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생활 습관의 개선과 스트레스 관리 등을 통해 두통을 예방할 수 있다. 과학적인 접근과 꾸준한 관리로 두통 없는 건강한 일상을 유지하기 바란다.
저작권자 © 밸류체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밸류체인타임스 = 강유희 칼럼니스트]
[밸류체인타임스 = 강유희 칼럼니스트] 1월 23일은 대한두통학회가 지정한 '두통의 날'이다. 이 날은 일주일에 두 번 이상 두통이 지속될 경우, 3개월 내에 전문의를 방문하여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는 경각심을 일깨워준다. 우리가 흔히 경험하는 두통은 편두통이지만, 두통에는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두통의 종류
두통은 크게 특정한 원인 없이 생기는 원발두통, 질환에 의해 발병하는 이차두통으로 나뉜다. 원발두통은 특정한 기저 질환 없이 발생하는 두통으로, 대표적으로 편두통, 긴장두통, 군발두통이 있다.
편두통은 주로 머리 한쪽에 맥박이 뛰는 듯한 통증이 나타나며, 구토, 빛과 소리에 대한 민감성 증가 등의 증상이 동반될 수 있다. 긴장두통은 머리 전체 또는 양쪽에 둔하고 조이는 듯한 통증이 특징이며, 스트레스나 근육 긴장과 관련이 깊다. 군발두통은 주로 눈 주변에 심한 통증이 주기적으로 발생하며, 눈물이나 코막힘 등의 자율신경 증상이 동반된다.
이차두통은 기저 질환이나 외상, 약물 과다복용 등에 의해 발생하는 두통이다. 외상성 두통은 머리 부위에 외상이 발생한 후 나타나는 두통으로, 뇌진탕 등의 후유증일 수 있다. 약물 과다복용 두통은 진통제를 과도하게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두통으로, 약물 사용을 줄이면 호전될 수 있다. 질병성 두통은 뇌종양, 뇌출혈, 뇌염 등 심각한 질환에 의해 발생하는 두통으로, 즉각적인 의료 조치가 필요하다.
출처: Unsplash
두통의 원인
편두통은 신경혈관성 질환으로, 뇌의 혈관 확장과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이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세로토닌(5-HT) 수치의 변동과 관련이 깊으며, 유전적 요인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스트레스, 특정 음식, 호르몬 변화 등이 유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긴장 두통은 주로 목과 어깨 근육의 긴장으로 인해 발생한다. 장시간의 컴퓨터 사용, 잘못된 자세, 정신적 스트레스 등이 근육 긴장을 유발하여 두통을 초래한다. 또한, 뇌의 통증 억제 메커니즘이 저하되면서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
군발두통의 원인은 뇌에서 조절할 수 있는 생활 리듬 이상, 뇌혈관 장애, 뇌 신경과 관련되어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원발두통은 통증의 정확한 원인은 팍악되지 않은 상태이지만 주로 긴장, 스트레스, 수면 부족, 호르몬 변화 등으로 인해 생긴다.
두통의 예방 및 치료 방법
규칙적인 수면, 균형 잡힌 식사, 충분한 수분 섭취는 두통 예방에 도움이 된다.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은 긴장두통과 편두통의 빈도를 줄이는 데 효과적이다. 과도한 카페인 섭취, 특정 음식, 강한 빛이나 소음 등 두통을 유발하는 자극 요소를 피한다.
약물 치료
진통제
아세트아미노펜과 이부프로펜과 같은 일반 진통제는 경미한 두통에 효과적이다. 아세트아미노펜은 통증 신호를 차단하고 열을 낮추는 작용을 하며, 이부프로펜은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로 염증을 감소시키고 통증을 완화시킨다. 이러한 진통제는 빠르게 증상을 완화시켜주지만, 과다 복용 시 간 손상이나 위장 출혈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트립탄 계열 약물
트립탄 계열 약물은 편두통 치료에 특히 효과적이다. 이 약물들은 세로토닌 5-HT1 수용체에 작용하여 뇌혈관을 수축시키고, 신경 전달을 조절함으로써 편두통의 심각한 통증을 완화시킨다. 트립탄은 편두통 발작 초기에 복용할 때 가장 효과적이며, 미토프라나롤이나 수마트립탄과 같은 다양한 종류가 있다. 그러나 심혈관 질환이 있는 환자에게는 사용에 주의가 필요하다.
예방 약물
베타차단제, 항우울제, 항경련제 등은 만성 두통 예방에 사용될 수 있다. 베타차단제는 혈압을 낮추는 효과 외에도 두통의 빈도와 강도를 줄이는 데 도움을 준다. 항우울제는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의 재흡수를 억제하여 통증 인지와 관련된 신경 경로를 조절한다. 항경련제는 신경 흥분을 안정시켜 두통의 발생을 예방한다. 이러한 예방 약물은 정기적으로 복용해야 효과를 볼 수 있으며,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의료 전문가의 지도가 필요하다.
비약물 치료
신경 차단술
신경 차단술은 주로 군발두통 환자에게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다. 이 시술은 특정 신경 부위에 국소 마취제를 주입하여 통증 신호를 차단하거나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삼차신경 차단술은 심한 얼굴 통증을 완화시키는 데 사용된다. 신경 차단술은 일시적인 통증 완화 효과를 제공하며, 반복적인 시술을 통해 장기적인 통증 관리가 가능하다.
인지행동치료(CBT)
인지행동치료는 만성 두통 환자의 통증 관리와 심리적 스트레스 감소에 도움을 준다. 이 치료법은 환자가 통증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키고, 스트레스 관리 기술을 습득하도록 돕는다. CBT는 통증과 관련된 부정적인 사고 패턴을 수정하고, 이완 기술을 통해 신체적 긴장을 완화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연구에 따르면, CBT는 두통의 빈도와 강도를 줄이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물리치료
물리치료는 근육 긴장을 완화하고, 잘못된 자세를 교정하여 긴장두통을 예방하는 데 유용하다. 스트레칭, 마사지, 초음파 치료 등 다양한 물리치료 기법이 사용되며, 이는 근육의 혈액 순환을 개선하고 통증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물리치료사는 환자의 생활 습관을 분석하고, 올바른 자세와 운동 방법을 교육하여 재발을 방지한다.
두통은 다양한 원인과 형태로 발생할 수 있으며, 각기 다른 치료 방법이 필요하다. 두통이 일주일에 두 번 이상 지속될 경우,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위해 전문의를 방문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생활 습관의 개선과 스트레스 관리 등을 통해 두통을 예방할 수 있다. 과학적인 접근과 꾸준한 관리로 두통 없는 건강한 일상을 유지하기 바란다.
저작권자 © 밸류체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밸류체인타임스 = 강유희 칼럼니스트]